AIL( Algorithm I Learned)
-
#AIL_23.11.03 // Programmers_배열의 평균 값AIL( Algorithm I Learned) 2023. 11. 3. 20:51
## AIL_배열의 평균 값 ***문제 설명 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umbers의 원소의 평균값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0 ≤ numbers의 원소 ≤ 1,0001 ≤ numbers의 길이 ≤ 100 정답의 소수 부분이 .0 또는 .5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numbers result [1, 2, 3, 4, 5, 6, 7, 8, 9, 10] 5.5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94.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numbers의 원소들의 평균 값은 5.5입니다. 입출력 예 #2 numbers의 원소들의 평균 값은 94.0입니다. ## soluti..
-
#AIL_23.11.02 // Programmers_몫 구하기AIL( Algorithm I Learned) 2023. 11. 2. 00:41
## AIL_몫 구하기 **문제 설명 정수 num1,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1을 num2로 나눈 몫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0 )를 사용하여 간결하게 작성되었습니다. Math.floor(num1 / num2): 이 부분은 num1을 num2로 나눈 결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소수점 이하를 버림하여 가장 가까운 정수 몫을 얻습니다. # Math.floor 기억하기_결과의 소수점을 버린다
-
#AIL_23.11.02 // Programmers_나이 출력AIL( Algorithm I Learned) 2023. 11. 2. 00:29
## AIL_나이 출력 **문제 설명 머쓱이는 40살인 선생님이 몇 년도에 태어났는지 궁금해졌습니다. 나이 age가 주어질 때, 2022년을 기준 출생 연도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0 < age ≤ 120나이는 태어난 연도에 1살이며 1년마다 1씩 증가합니다. **입출력 예 age result 40 1983 23 200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2022년 기준 40살이므로 1983년생입니다. 입출력 예 #2 - 2022년 기준 23살이므로 2000년생입니다. ## solution.JavaScript 1. 문제의 접근 방식 2022년에서 주어진 나이를 뺌으로써 출생 연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문제풀이 function solution(ag..
-
#AIL_23.10.26 // Programmers_정렬_K번째 수AIL( Algorithm I Learned) 2023. 10. 26. 20:20
## AIL_정렬_K번째 수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
#AIL_23.10.14 // Programmers_문자열 내 p와 y의 개수AIL( Algorithm I Learned) 2023. 10. 14. 22:58
## AIL_문자열 내 p와 y의 개수 문제 설명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를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가 "pPoooyY"면 true를 return하고 "Pyy"라면 false를 return합니다. 제한사항 - 문자열 s의 길이 : 50 이하의 자연수 - 문자열 s는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s answer "pPoooyY" true "Pyy" false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_'p'의 개수 2개, 'y'의 개..
-
#AIL_23.10.13 // Programmers_올바른 괄호AIL( Algorithm I Learned) 2023. 10. 13. 23:24
## AIL_올바른 괄호 문제 설명 괄호가 바르게 짝지어졌다는 것은 '(' 문자로 열렸으면 반드시 짝지어서 ')' 문자로 닫혀야 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또는 "(())()" 는 올바른 괄호입니다.")()(" 또는 "(()(" 는 올바르지 않은 괄호입니다.'(' 또는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문자열 s가 올바른 괄호이면 true를 return 하고, 올바르지 않은 괄호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문자열 s의 길이 : 100,000 이하의 자연수 문자열 s는 '(' 또는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한사항 문자열 s의 길이 : 100,000 이하의 자연수문자열 s는 '(' 또는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